봄봄.devlog

정보처리기사 운영체제 정리3 본문

Computer Science/운영체제

정보처리기사 운영체제 정리3

jihyun03 2020. 10. 31. 04:25

1. 국부성(Locality)

 

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는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이 있다는 이론

 

1) 시간 구역성 : 하나의 페이지를 일정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현상

2) 공간 구역성 : 일정 위치의 페이지를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현상 

 

2. 스래싱(Thrasing)

 

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을 말한다. 

 

3. 디스크 스케줄링

 

목적 : 처리량 최대화, 평균 응답 시간의 최소화, 응답 시간 편차의 최소화

 

1) FCFS(First Come First Service)

2) SSTF(Shortest Seek Time First) 

-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기법

-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트랙으로 헤드를 이동시킴

- FCFS보다 처리량 많고, 평균 탐색 시간이 짧음.

 

3) SCAN

- SSTF가 갖는 탐색 시간의 편차를 해소하기 위한 기법

- 현재 헤드의 위치에서 진행 방향이 결정되면 탐색 거리의 짧은 순서에 따라 그 방향의 모든 요청을 서비스하고, 끝까지 이동한 후 역방향의 요청 사항을 서비스함

 

ex)  SCAN 기법을 사용할 경우, 다음과 같은 작업대기 큐의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헤드의 총 트랙 이동 거리를 구하시오. (단, 초기 헤드의 위치는 30이고, 현재 0번 트랙으로 이동 중이다) 

 

작업대기큐 : 7 46 15 38 3

 

30 -> 15 -> 7 -> 3 -> 38 -> 46   / 이동거리 15+8+4+35+8=70이다.

 

4. 순차 파일 / 색인 순차 파일

 

1) 순차파일

- 주로 순차 접근이 가능한 자기 테이프에서 사용한다.

- 장점 : 레코드를 기록할 때 사용한 키 순서대로 레코드를 처리할 경우 다른 편성법보다 처리 속도가 빠름

 

2) 색인 순차 파일

- 각 레코드를 키 값으로 논리적으로 저장하고, 시스템은 각 레코드의 실제 주소가 저장된 색인을 관리한다.

- 레코드를 참조하려면 색인을 탐색한 후 색인이 가리키는 포인터(주소)를 사용하여 직접 참조할 수 있다. 

 

5. 다중 처리기(Multi-Processor)

 

-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개의 처리기(프로세서)를 두어 하나의 작업을 각 처리기에서 할당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.

-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여 실행 시간이 감소되고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.

- 여러 프로세서는 하나의 공통된 기억장소를 가진다. 

 

6. 프로세서 연결 방식

 

1) 시분할 및 공유 버스 : '버스'라는 단일 경로로 연결한 방식

2) 크로스바 교환 행렬 

- 시분할 및 공유 버스 방식에서 버스의 수를 기억장치 수만큼 증가시켜 연결한 방식

- 각 기억장치마다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,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억장치를 동시에 참고할 수 있음

- 장치의 연결이 복잡해짐

 

3) 하이퍼 큐브

-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경제적인 방식임

- 4개의 프로세서를 2개씩 서로 이웃하게 연결한 사각형  모양의 2차원 하이퍼 큐브를 만들고, 2차원~~

 

7. 다중 처리기의 운영체제 구조

 

1) 주/종 처리기 

- 하나의 프로세서를 주프로세서로 지정하고, 나머지들은 종프로세서로 지정하는 비대칭 구조

- 주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다운됨

- 주프로세서 : 입출력과 연산 담당, 운영체제 수행

- 종프로세서 : 연산만 담당

 

 

 

 

Comments